검색결과 리스트
Insight/교수칼럼 카테고리 총 29개 콘텐츠
-
헌법수호와 조직문화 변화관리
글. 박원우 교수 1980년대 초 불길처럼 타오른 기업문화의 유행이 경영학 전반에서 상당한 위상을 차지했었다. 그러나 불과 10~15년 뒤엔 '한 때 유행하고 사라지는 개념(one-time fad)'처럼 취급되었다가, 21세기 들어 기업문화 개념이 부활하여 요즘 더욱 중요시되고 있다. 기업문화가 중요한 객관적 이유는 다음과 같이 7가지로 설명할 수 있다. 그런데 위의 7가지 글로벌 객관적 이유 외에도 한국사회에서 기업문화 변화관리가 반드시 실현되어야 하는 또 다른 이유가 있다. 한국기업 조직문화의 주요 현상과 이슈 한국의 조직문화가 지닌 특성과 이슈는 어떠한가? 다음은 다양한 한국기업을 대상으로 대한상공회의소와 맥킨지 앤드 컴퍼니(McKinsey & Company)가 공동으로 조사·발표한 보고서(2016..
2020.10.26 -
변화의 시대를 살아가는 세 가지 지혜
글. 김병도 교수 우리는 변화를 싫어하지만 세상에 변하지 않는 것이 없다. 만물유전(萬物流轉). 세상의 모든 것들은 변한다는 뜻으로, 그리스어로는 ‘판타레이(Panta Rei)’라 한다. 2,500년 전 그리스 철학자 헤라클레이토스(Heraclitus)는 변화를 우주의 가장 기본적인 원리로 파악하면서, 그 필연성을 강조했다. “똑같은 강물에 발을 두 번 담글 수 없다”라는 이 익숙한 문구는 그가 변화와 관련해 남긴 명언이다. 발을 씻기 위해 매일 나가는 강은 항상 변치 않고 그 자리에 있는 것 같지만, 강물은 어제의 그 물이 아니라는 말이다. 우리는 변화하지 않으려고 노력하지만, 우주의 기본 원리를 거부할 수는 없다. 고타마 싯다르타는 헤라클레이토스와 거의 동시대에 살았던 인도의 성인이다. 아마 이때가 ..
2020.08.26 -
코로나19와 주식시장: 숀씨 강연장 난동사건
글. 석승훈 교수 이 글은 얼마 전에 있었던 숀씨의 강연장에서 있었던 일에 관한 것이다. 강연의 주제는 코로나 사태 와중에 주가가 급등하는 현상에 대한 것이었다. 강연 중간에 소리를 치기 시작한 사람은 딸라씨였다. 딸라씨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코로나 사태가 아직 끝나려면 멀었는데 주가의 상승은 과도하다. 주식시장은 건전한 투자의 장이 아니라 투기판이 되었다. 주식시장은 기업의 실적과 무관한 묻지마 투자로 인해 주가가 증가하게 되었다. 실적 가치와 괴리된 주가는 결국은 조정을 받게 될 것이며 지금의 투자자들은 그 피해를 보게 될 것이다. 주가가 기업의 내재가치와 괴리되어 상승한 이유는 과도한 유동성 공급에 있다. 실물 투자로 연결되지 못한 부동 자금이 자산시장으로 옮겨감으로써 내재가치와 무관하게 주식시..
2020.07.29 -
FC Barcelona에서 배우는 승리하는 문화
글. 이경묵 교수 1899년에 설립된 FC Barcelona는 1988년까지는 성적이 신통치 않았다. 그러다가 네덜란드 출신의 세계적인 축구 선수였던 요한 크루이프(Johan Cruyff)가 1988년에 감독으로 부임하면서 아주 좋은 성적을 냈다. 1990년부터 4년 연속 스페인 1부 프로축구 리그인 라 리가에서 우승을 했다. FC Barcelona 선수 출신인 펩 과르디올라(Pep Guardiola)가 감독을 맡았던 2008년부터 2012년까지의 성적은 더 눈부시다. 라 리가 3회 우승, 챔피언스 리그 2회 우승 등 18번의 대회에서 14번 우승했다. 전 세계 프로축구 역사상 가장 뛰어난 성적을 낸 팀이었다. 해당 기간 동안 FC Barcelona 선수들이 주축이었던 스페인 국가 대표팀은 월드컵 우승,..
2020.06.29 -
요즘 핫한 브랜드 이야기: 무신사
글. 박기완 교수 모든 패션은 무신사로 통한다! '무신사'를 모르면 구세대라 말할 정도로 무신사는 핫하다. 무신사는 ‘무진장 신발 사진 많은 곳’이란 뜻. (50대를 향해가는 나에게는) 그 이름도 정겨운 프리챌에 2001년 만든 소규모 커뮤니티가 출발이었다. 조만호 대표는 단지 신발이 좋아서, 패션에 관심이 많아서 스니커즈 마니아를 위한 작은 공간을 마련했다. 그는 무신사가 이렇게 커질 줄 알았을까? 이제는 기업 가치 2조 원, 거래액 1조 원, 회원 수 550만 명(2019년 기준)을 자랑하는 국내 최대 패션 플랫폼으로 자리잡았다. 대기업들도 MZ세대와 소통하려면 무신사의 문을 두드려야 한다. 무신사가 성공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1. 콘텐츠로 소비자를 끌어당기다 소비자 관점에서 무신사의 핵심 역량은..
2020.06.01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