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Insight/동문칼럼 카테고리 총 30개 콘텐츠
-
Rethinking Bitcoin
2009년 1월 3일, 첫번째 비트코인 블록(Genensis block)이 세상에 출시되었다. Satoshi Nakamoto가 2008년 10월 백서 “BitCoin: A Peer-to-Peer Electronic Cash System”를 통해 비트코인의 출시를 발표하고 난 지 두 달만이다. 그 첫번째 비트코인 블록에는 흥미롭게도 다음과 같이 메시지가 담겨 있다. “The Times 03/Jan/2009 Chancellor on brink of second bailout for banks" (은행들을 구하기 위한 두번째 구제 금융을 눈앞에 둔 재무장관, 더 타임즈) 이 시기는 2007년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사태와 2008년 9월 리만브라더스 파산을 통해 발발한 미국발 금융위기가 전세계를 강타하고 세계경..
2023.10.23 -
워런 버핏에게 배우는 투자의 지혜
우리나라 경제가 저성장 국면에 들어서면서 더 이상 월급만으로 부자가 될 수가 없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고 주식투자에 대한 관심은 지속적으로 높아져 왔다. 특히 코로나 시기를 겪으면서 개인들의 직접 투자가 늘어났고, 개인들이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은 그 어느 때보다 커졌다. 개인들이 상승을 주도했던 자동차용 배터리 관련 투자 붐이 가장 대표적이고 최근에는 초전도체 투자 붐까지 이끌었다. 하지만 여전히 상당수의 개인투자자들의 투자가 불안해 보이는 이유는 주식투자와 관련된 기본기가 부족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전세계 투자자들에게 가장 널리 이름이 알려져 있는 워런 버핏은 “시장은 단기적으로는 투표 기계이지만 장기적으로는 저울이다.”라고 이야기 한다. 단기적으로는 여러 사람에게 가장 인기 있는 주식이 오를 ..
2023.08.24 -
ESG 경영에 대한 소비자 인지 관점의 새로운 시각
ESG란 용어는 UN 글로벌컴팩트(UNGC)에서 1994년 발표한 ‘Who cares win’이란 보고서에서, 기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환경 사회 그리고 지배구조 측면에서 이슈를 관리해야 한다는 Triple Bottom Line 개념으로 최초로 언급되었다. 이후, 2006년 국제 투자기관 연합인 UN PRI가 금융 투자 원칙으로 ESG를 강조하면서 오늘날 기업 경영에서 강조되는 ESG 프레임워크의 초석을 제시하였고, 이에 더하여 자본주의 4.0 및 이해관계인 자본주의 담론이 등장하였으며, 코로나 19 사태를 겪으면서 기후변화, 공중보건, 환경보호 등 ESG 이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다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기업의 사회적 책임 문제가 주요 관심사로 떠오르면서 지속가능성을 위해 노력하는 기업이 장..
2023.06.20 -
AI연대기: 디지털 생명의 창세기인가, 인류 종말의 묵시록인가
“나는 점점 넓어지는 원 안에서 내 인생을 사네 그 원은 온 세상으로 뻗어나가네 나는 아마도 마지막 원을 완성할 수 없을 것 같지만 나는 나를 그 일에 바치겠네.” - 라이너 마리아 릴케, 『기도시집』, 1905. 1956년 7월, 훗날 ‘인공지능의 아버지들’이라고 불린 John McCarthy, Marvin Minsky와 Nathaniel Rochester, Claude Shannon 등 10명의 수학자, 과학자들이 다트머스 컬리지에 모였다. 여기서 열린 ‘더 다트머스 컨퍼런스’에서 인공지능(AI)이라는 용어가 처음 만들어졌다. 6주간 계속된 컨퍼런스에서 참석자들은 어떻게 기계로 하여금 언어를 사용하고, 개념을 형성하고 추상화하며, 문제를 해결하고, 스스로 개선하도록 만들 수 있을까에 관해 치열하게 브..
2023.04.19 -
더 이상의 회계 개혁은 없다 - 중요한 건 꺽이지 않는 마음
5조원의 혈세가 투입된 대우조선해양 회계스캔달의 여파로 주기적 지정제, 표준감사시간, 내부회계관리제도감사제도의 도입 등이 포함된 주식회사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외부감사법) 전부개정안이 2017년 9월 국회를 통과하였다. 분식회계와 부실감사를 근절하기 위해 과거부터 논의되어 온 회계개혁 과제들이 총망라되어 있어 일부 언론에서는 한국판 '삭스법'(SOX, Sarbanes-Oxley Act)이라고 부른다. 20년전 미국은 취약한 기업지배구조로 인한 경영진의 전횡, 회계처리에 대한 경영진의 책임성 부족, 감사인의 독립성 미흡을 엔론이나 월드콤 등 회계스캔달의 주요 원인으로 보았다. 삭스법을 제정하여 감사위원회 설치와 외부감사인 선임권한 부여, 내부회계관리제도감사 등 당시로서는 세계적으로 유래가 없는 강력한 회..
2023.02.17 -
온 가족의 다행다복[多幸多福]을 향한 길을 보여주는 보물지도는? '가문헌법'
‘가문 헌법’이란 무엇인가? 간단하게 ‘가문 헌법’을 정의하자면 ‘한 가문의 가치와 목적을 정의하며 미래에 중요한 결정을 내리기 위한 규칙과 지침을 제공하는 문서’라고 할 수 있다. 가문헌법을 입안한 가족구성원은 문서 내용을 바탕으로 아래와 같은 질문에 답할 수 있다. · 우리 가족의 자산은 어디에서 유래하는 것인가? · 그 자산은 어떻게, 그리고 어디에 분배되고 있는가? · 가족 구성원의 공동목표가 무엇인가? · 그 목표를 어떻게, 그리고 언제까지 이루어져야 하는가? · 각 가족 구성원은 이 과정에 서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가? · 성공은 어떤 기준으로 추정할 수 있는가? 가문헌법을 기록하면서 입안과정에 참여하는 가족 구성원들은 가족의 역사와 핵심 가치관, 부(富)와 자산에 대한 사상, 그리고 중요한..
2022.12.23 -
한국의 노블레스 오블리주, 경주 최 부자집의 품격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1960년대부터 미국을 중심으로 대두된 개념이다. ‘재주복주(載舟覆舟, 물은 배를 띄우지만 배를 뒤집어엎기도 한다)’라는 말이 있듯이, ‘기업은 사회라는 바다 위에 떠 있는 섬과 같다’는 비유가 있다. 이는 ‘사회는 기업을 띄우기도 하지만 기업을 뒤엎기도 한다’는 의미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사회를 위한 것이기도 하지만 궁극적으로는 그 기업 자체를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유럽에서 가장 오래 부를 지녔던 이탈리아의 메디치 가문도 200년 이상 그 부의 명맥이 이어지지 못하였다. 미국보다 400년 전인 조선 중기에 오늘날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같은 기업 활동의 투명성과 윤리성이 발휘되고 있었다. 바로 경주 최 부자집의 부자 품격이다. ‘부자 3대 못간다’는 말이 있지만 경주 최 부..
2022.10.25 -
한국 경제에서 가장 "고갈"되고 있는 것은?
1. 고정수입원 고갈과 뇌의 고갈 “고갈”이란 “바닥이 들어날 정도로 바싹 마른 상태로서 무엇인가가 극심하게 부족한 상태”를 의미한다. 영어로는 exhaustion 혹은 depletion으로 표현한다. 개인의 생활도 그렇고 기업경영이나 국가경제도 그렇고 무엇인가가 너무 많아서 문제되는 경우도 있고 너무 부족해서 문제되는 경우도 있다. 부족한 것의 극단적 경우가 고갈이다. 그렇다면 현재 한국사회와 경제에서 가장 고갈되고 있는 것은 무엇일까? 다양한 관점에서 생각해 볼 수 있지만 경제적인 관점에 초점을 맞추면 “고정적인 수입 원천의 고갈”이 대표적인 고갈 현상이다. 여기서 “고정적”의 의미는 금액이 확정되어 있다는 것과 더불어 획득 시기가 주기적으로 고정되어 있다는 의미도 포함한다. 수입이 확정적(fixed..
2022.08.24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