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News/벤처경영기업가센터이야기 카테고리 총 42개 콘텐츠
-
꽃잎이 떨어지는 속도 (2)
꽃잎이 떨어지는 속도 (2) 일상을 아주 느리게 본다면, 뒤돌아본 풍경은 당신의 기억과 다를 수 있습니다. 일상을 아주 느리게 실천한다면, 대면한 풍경은 당신의 어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꽃잎이 떨어지는 속도. 이번 호에는 황인이 교수의 목소리로 누구나 아는, 그러나 아무도 정독하지 않은 오래된 책을 읽어 보겠습니다. 글 황인이 교수 국부론에서 보는 지속가능경영 우리는 어느 순간부터인가 또 어떤 이유에서인지도 모른 채 기업의 목표는 주주가치의 극대화라는 명제를 너무나도 당연하게 받아들여 왔다. 하지만 굵직굵직한 국제경제위기를 반복적으로 체험하면서 주주자본주의 이데올로기가 더 이상 기업의 장기적 성과에 기여하지 않다는 성찰과 함께 기업의 역할을 재조명하는 노력들이 차오르는 시대에 서있다. 2019년 8월 ..
2020.07.29 -
스누 임팩트(1)
스누 임팩트(1) 대학에 기업가 센터가 있는 이유는 뭘까요? 비영리 교육 기관과 영리 창업 지원 조직의 공존이 일견 부자연스러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재정이 상시적으로 부족한 대학 입장에서는 교육 효과가 모호한 기업가 센터의 활동이 불안해 보일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혹자는 국부 창출의 미래 세대를 키우는 것이 대학의 사회적 기능이기 때문에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기업가 센터의 프로그램이 활성화되어야 한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사업 기회를 읽고, 돈의 흐름을 읽는 것은 대학 보다는 시장이, 현장이 더 잘 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지난 십 년간 창업 지원 조직, 중간 지원 조직은 양적, 질적 성장을 하였고, 나름의 성과도 보이고 있습니다. 예비 창업가는 대학의 기업가 센터를 기웃거리기 보다는, 테헤란로의 중간 ..
2020.06.22 -
NUMBERS(1)
NUMBERS(1) 벤처 경영 기업가센터의 오늘은, 하나의 회사가 아니라, 하나의 시장을 만들기 위한 부단한 노력의 시간입니다. 우리는 2013년 12월 국내 최초로 학부 과정 벤처 경영학 연합 전공을 신설하였고, 매해 40명의 신입생을 선발하고, 지난 6년 동안 누적 인원 2053명의 수강생을 받았고, 신입생의 11.67%가 창업을 하였고, 총 10 건의 법인 기업을 설립하였고, 시리즈 B의 투자까지 진행한 회사가 두 건이 있고, 총 400 억 원의 투자를 연합 전공 학생 창업 기업이 받았습니다. 400.5 억 원 (학생 창업 기업이 벤처 캐피탈로부터 투자 받은 금액 총액. 2020년 3월 기준) 20 창업 건수 (개인 기업 포함) 10 법인 기업 설립 건수 33 % 여학생 비율 (연합 전공 벤처 경영..
2020.06.22 -
시장 읽기(2)
글 이경미 교수 일상 유지와 초전문가의 역할 많은 경우 지금 우리가 겪고 있는 경제적 위기에 대한 벤치마크로써 2008년 금융위기를 듭니다. 그 영향력이 전 세계적이며, 주로 인컴 쇼크로 인한 경제적인 여파가 크기 때문입니다. 이 글에서는 소비자들의 행동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두 사건을 비교하고, 시장에 주는 시사점을 찾아 내려고 합니다. 먼저, 대중이 인식하는 위기의 원인에서 오늘의 위기와 금융 위기가 차이가 있습니다. 금융위기 경우, 경제시스템의 실패이고, 또한 기업경영자와 엘리트라고 일컬어지는 사회지도층과 기존 질서에 대한 실패로 인식되었습니다. 이는 언론을 비롯한 전문가집단과 기업인 등 제도에 대한 분노와 불신으로 이어졌습니다. 전문가에 대한, 지적권위에 대한 불신은 2009년부터 더욱 확..
2020.06.22 -
시장 읽기(3)
글 최동범 교수 시장의 규칙 산업 생태계의 신진대사 및 혁신을 위해서는 신규 기업의 원활한 진입과 도태 기업의 퇴출이라는 시장의 역할이 필요불가결하다. 실패의 아픔 및 그에 대비되는 성공의 달콤함이 있어야 생존에 대한 의지가 북돋아지는 것이나, 실패의 아픔이 사라진다면 성공의 달콤함 역시 옅어질 것이고 나아가 애초에 노력하여 혁신을 이뤄낼 이유가 불명확해 질 수 있다. 신종 전염병의 창궐이라는 미증유의 사태를 겪으며 시장에서의 정부 및 중앙은행의 존재감이 커지고 있다. 통상적으로 중앙은행의 긴급 자금 공급은 본질적인 건정성에는 문제가 없으나 일시적인 유동성 문제를 겪고 있는 상업은행만을 대상으로 한다. 이렇게 옥석을 가린 대상에 한해 추가로 손실 방지를 위해 안전 자산을 담보를 잡고 긴급 자금을 공급하여..
2020.06.22 1 -
시장 읽기(4)
글 송재용 교수 디지털 대전환과 글로벌화의 역풍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기업 환경 변화는 크게 (1) 디지털 대전환 (digital transformation), (2) 글로벌화의 역풍 (de-globalization), (3) 부채 위기 가능성 증대, (4) 큰 정부 시대의 도래로 요약해서 볼 수 있다. 첫 째, 디지털 대전환의 속도가 빨라진다. 온라인 유통/언택트 소비 확산이 가속화되어 유통 패러다임의 근본적인 변화가 일어날 것이다. 이는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의 디지털/데이터 기반 전환을 촉발할 것이다. 온라인/디지털화를 통해 데이터 축적이 가능하기에 빅 데이터를 활용하는 방향으로의 BM혁신이 속도를 내게 될 것이다. 또한 재택근무, 화상회의가 일상화되는 등 일하는 방식의 변화도 일어나게 되는데 이는 ..
2020.06.22 -
시장 읽기(5)
글 박소정 교수 팬데믹 위험관리와 사회 안전망의 구축 COVID-19은 전 인류에게 불쑥 찾아왔다. 해고되고, 파업하고 쓰러지는 소식들을 들으며 버티고 있다. 우리 사회는 이제 이 위기를 넘기고 끝내는 것이 아니라 또 이런 일이 생겼을 때 회복탄력성을, 특히 가장 고통 받게 되는 취약계층의 회복탄력성을 어떻게 강화해야 하는가에 관한 고민을 해야만 한다. 다양한 위험에 노출되어 살고 있는 인류가 개발해낸 가장 대표적인 위험관리 도구 중 하나는 보험이다. 보험을 통해 우리는 위험을 전가하고, 전가된 위험을 모아 위험을 줄여왔다. 보험은 금전적 손실로 인하여 위기에 처했을 때 빠르게 회복할 수 있는 근간이 되어준다. 하지만 위험을 모아 위험을 줄인다는 원리는 위험 간 상관관계가 낮을 때만 성립된다. 따라서 손..
2020.06.22
RECENT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