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 총 484개 콘텐츠
-
SNUbiz 특별대담 - 박영안 서울대 상대 총동창회장 인터뷰
동창회장으로 취임하셨는데 소감 말씀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28대 서울대 상대 동창회장을 맡은 박영안입니다. 서울대 상대 25,000여 명의 동문들이 사회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데, 이런 훌륭한 동문들이 함께 만나고 소통할 수 있도록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총동창회장의 막중한 책임감이 느껴지네요. 특히, 젊은 세대들의 동참을 유도하여 선배들이 닦아놓은 전통을 후배들에게 계승해야할 의무가 있다고 생각하니 더욱 벅차네요. 동창회 활성화를 위해 추진하고자 하는 일이 무엇인지요? 동문 간의 소통의 장 마련, 참여하는 동창회, 재학생들의 멘토 총 세 가지를 중심적으로 추진해 보고합니다. 첫 번째로, 동문 간의 소통의 장 마련 - 4차 산업 시대를 맞이하여 점차 모바일 중심의 소통시대를 맞고 있어 종전 o..
2020.06.29 -
FC Barcelona에서 배우는 승리하는 문화
글. 이경묵 교수 1899년에 설립된 FC Barcelona는 1988년까지는 성적이 신통치 않았다. 그러다가 네덜란드 출신의 세계적인 축구 선수였던 요한 크루이프(Johan Cruyff)가 1988년에 감독으로 부임하면서 아주 좋은 성적을 냈다. 1990년부터 4년 연속 스페인 1부 프로축구 리그인 라 리가에서 우승을 했다. FC Barcelona 선수 출신인 펩 과르디올라(Pep Guardiola)가 감독을 맡았던 2008년부터 2012년까지의 성적은 더 눈부시다. 라 리가 3회 우승, 챔피언스 리그 2회 우승 등 18번의 대회에서 14번 우승했다. 전 세계 프로축구 역사상 가장 뛰어난 성적을 낸 팀이었다. 해당 기간 동안 FC Barcelona 선수들이 주축이었던 스페인 국가 대표팀은 월드컵 우승,..
2020.06.29 -
경영대학(원) 경영정보 분야 신임교수 소개
교수님, 간단한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여러분 반갑습니다. 저는 서울대학교 화학생물공학부(입학 당시 공업화학과)를 졸업 후 삼성 SDS에서 3년간 근무한 후, 미국 카네기멜론대학교에서 경영학 석사, 일리노이 주립대에서 경영학 박사를 취득하였습니다. 미국에서 박사과정을 마치고 한국으로 돌아와 유니스트 경영대학에서 4년, 서울시립대학 경영대학에서 5년 동안 교수로서 가르치고 연구했고, 2020년 3월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경영정보 분야로 임용되었습니다. 우리학교 신임 교수님이 되신 소감이 어떠신가요? 서울대 교수로 임용이 되어 기쁜 만큼, 교육과 연구에서 최고가 되어야 한다는 책임감도 같이 오는 것 같습니다. 임용 소식을 듣고 나서 가장 많이 들은 말이기도 하고 저의 소감을 가장 잘 표현하는 말이 ..
2020.06.25 -
스누 임팩트(1)
스누 임팩트(1) 대학에 기업가 센터가 있는 이유는 뭘까요? 비영리 교육 기관과 영리 창업 지원 조직의 공존이 일견 부자연스러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재정이 상시적으로 부족한 대학 입장에서는 교육 효과가 모호한 기업가 센터의 활동이 불안해 보일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혹자는 국부 창출의 미래 세대를 키우는 것이 대학의 사회적 기능이기 때문에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기업가 센터의 프로그램이 활성화되어야 한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사업 기회를 읽고, 돈의 흐름을 읽는 것은 대학 보다는 시장이, 현장이 더 잘 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지난 십 년간 창업 지원 조직, 중간 지원 조직은 양적, 질적 성장을 하였고, 나름의 성과도 보이고 있습니다. 예비 창업가는 대학의 기업가 센터를 기웃거리기 보다는, 테헤란로의 중간 ..
2020.06.22 -
NUMBERS(1)
NUMBERS(1) 벤처 경영 기업가센터의 오늘은, 하나의 회사가 아니라, 하나의 시장을 만들기 위한 부단한 노력의 시간입니다. 우리는 2013년 12월 국내 최초로 학부 과정 벤처 경영학 연합 전공을 신설하였고, 매해 40명의 신입생을 선발하고, 지난 6년 동안 누적 인원 2053명의 수강생을 받았고, 신입생의 11.67%가 창업을 하였고, 총 10 건의 법인 기업을 설립하였고, 시리즈 B의 투자까지 진행한 회사가 두 건이 있고, 총 400 억 원의 투자를 연합 전공 학생 창업 기업이 받았습니다. 400.5 억 원 (학생 창업 기업이 벤처 캐피탈로부터 투자 받은 금액 총액. 2020년 3월 기준) 20 창업 건수 (개인 기업 포함) 10 법인 기업 설립 건수 33 % 여학생 비율 (연합 전공 벤처 경영..
2020.06.22 -
시장 읽기(2)
글 이경미 교수 일상 유지와 초전문가의 역할 많은 경우 지금 우리가 겪고 있는 경제적 위기에 대한 벤치마크로써 2008년 금융위기를 듭니다. 그 영향력이 전 세계적이며, 주로 인컴 쇼크로 인한 경제적인 여파가 크기 때문입니다. 이 글에서는 소비자들의 행동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두 사건을 비교하고, 시장에 주는 시사점을 찾아 내려고 합니다. 먼저, 대중이 인식하는 위기의 원인에서 오늘의 위기와 금융 위기가 차이가 있습니다. 금융위기 경우, 경제시스템의 실패이고, 또한 기업경영자와 엘리트라고 일컬어지는 사회지도층과 기존 질서에 대한 실패로 인식되었습니다. 이는 언론을 비롯한 전문가집단과 기업인 등 제도에 대한 분노와 불신으로 이어졌습니다. 전문가에 대한, 지적권위에 대한 불신은 2009년부터 더욱 확..
2020.06.22 -
시장 읽기(3)
글 최동범 교수 시장의 규칙 산업 생태계의 신진대사 및 혁신을 위해서는 신규 기업의 원활한 진입과 도태 기업의 퇴출이라는 시장의 역할이 필요불가결하다. 실패의 아픔 및 그에 대비되는 성공의 달콤함이 있어야 생존에 대한 의지가 북돋아지는 것이나, 실패의 아픔이 사라진다면 성공의 달콤함 역시 옅어질 것이고 나아가 애초에 노력하여 혁신을 이뤄낼 이유가 불명확해 질 수 있다. 신종 전염병의 창궐이라는 미증유의 사태를 겪으며 시장에서의 정부 및 중앙은행의 존재감이 커지고 있다. 통상적으로 중앙은행의 긴급 자금 공급은 본질적인 건정성에는 문제가 없으나 일시적인 유동성 문제를 겪고 있는 상업은행만을 대상으로 한다. 이렇게 옥석을 가린 대상에 한해 추가로 손실 방지를 위해 안전 자산을 담보를 잡고 긴급 자금을 공급하여..
2020.06.22 1
RECENT COMMENT